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및 위치 체크!
■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및 위치 알아보기!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및 위치 확인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사회 초년생 때부터 결혼식을 가기 시작하실 텐데요.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을 잘 알아두시면 사회 생활하는데 유용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및 위치 알아보는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친구나 직장상사 직장 동료 등 결혼식장에 가게 되면 보통 결혼 축의금 봉투가 비치되어 있기는 합니다. 그렇지만 예의상 미리 집에서 준비해서 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려면 쓰는법에 대해서 잘 알고 계셔야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본문을 봐주세요.
□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및 위치 확인하기!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 종류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축결혼", "축화혼", "축성전", "축성혼", "하의" 등이 있는데요. 각 단어마다 쓰임새가 다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잘 알고 계셔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신랑측에 내야하는 경우는 "축결혼"을 쓴다고 합니다. 반대로 신부측에 내야 하는 때에는 "축화혼"을 써야 맞다고 합니다. "축화촉"을 사용할 때에는 양측 모두에게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결혼 축하 봉투 작성을 할때 유념하셔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름 쓰는 방법 및 위치
보통 가운데 줄이 없는 부분에 위에 설명드린 단어를 쓰게 되고, 뒤에 줄이 가있는 부분에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쓰게 됩니다. 앞면에는 크게 써주시면 되고, 요즘에는 한자 대신 한글도 많이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취향대로 작성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뒷면에 자신의 이름을 적을 때는 보통의 경우 세로로 작성을 하고 왼쪽부분에 작성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우측쯤에 자신의 소속을 적어주시면 되는데요. 없으시면 그냥 자신의 이름만 적어 놓으시면 됩니다.
- 기타 예절
결혼 축의금 봉투 쓰는법 확인을 하시고 작성하셨다면 이제는 금액을 넣어야 하는데요. 보통 친구의 경우는 다들 친구들끼리 맞춰서 내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대개 돈은 홀수 단위로 내는 것이 보통인데요. 옛날 부터 우리 조상님들은 홀수를 길한 숫자로 여겼기 때문에 홀수 단위로 내기 시작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보통 3만원, 5만원, 7만원, 10만원 단위로 내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10을 넘어서게 되면 15만원, 20만원 25만원 이러한 단위로 맞춰서 내는 것이 보통인 것 같습니다.
오늘은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법 확인을 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사회 초년 생 때는 결혼식에 가야할 일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더 어른이 되어가고 있다는 증명이겠지요. 겨울이 지나 결혼식이 많이 있을 텐데요. 미리 확인하시고 상대의 결혼을 축하해 주시기 바랍니다.
[알아두면 좋은 TIP] - 연봉 2400 실수령액 방법 소개!
[알아두면 좋은 TIP] - 연차계산기 및 연차자동계산기 사용하기!
[알아두면 좋은 TIP] - 제주도항공권실시간 예약 확인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