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좋은 TIP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조회하기!

minson12 2017. 3. 20. 14:00
반응형

■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조회방법 소개!

오늘 첫 포스팅의 내용은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에 들어가서 이제 경력을 쌓고 있다는 증명 중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요. 그래서 가입은 가급적 빨리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은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확인방법에 대해서 소개를 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이 홈페이지에 접속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공인인증서도 같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조회방법!

 

우선 해당 홈페이지에 증명서 발급 부분에 "가입내역 확인서(개인)"을 통해 들어가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나서 여러가지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셔야 다음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다음은 로그인을 해 주셔야 합니다. 로그인은 "개인 비회원"으로 하시면 되는데요. 자신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신 후 공인인증서 인증을 누르시면 됩니다.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공인인증서가 필요한 부분인데요. 만약 없으시거나 기한이 만료 되셨다면, 자신이 해당하는 기관이나 은행에서 공인인증서 발급 또는 재발급을 통해서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로그인이 완료가 되셨다면, "증명서 신청/발급"을 통해 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부터는 컴퓨터를 통해 캡쳐가 불가능하여 사진을 못구한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계산 방법 알아보기!

 

해당 홈페이지에 우측 화면을 보시면 "모의계산" 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것을 통해 계산 등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의계산인 만큼 100%정확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실제와는 조금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고 하시기 바랍니다.

 

 

이것은 제가 직접 계산을 해본 결과입니다. 월 급여는 300만원으로 정했고 계산을 해본 결과 국민연금의 경우 제가 부담해야할 부분은 135,000원으로 나왔고 총 270,000원으로 나와있습니다. 연금은 기준 소득월액의 9%가 빠지고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반씩 나눠 낸다고 합니다. 자신이 내야할 돈이 얼마인지 궁금하신 분은 계산기를 통해서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지금까지 사대보험 가입확인 및 가입여부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만약 가입이 되지 않으신 분은 자신의 사업장에 이야기를 하셔서 가급적이면 빨리 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